▲ 일반 비오리와의 큰 차이점은 머리깃과 몸에 있는 비늘무늬 깃입니다.(수컷 호사비오리의 모습 2023년)
겨울은 새를 사랑하는 사람들에겐 설레는 계절입니다. 겨울철 물새와 맹급류, 다양한 산새들이 찾아오는 계절이기 때문입니다.
▲ 호사비오리 암컷
▲ 호사비오리 수컷
섬진강을 끼고 있는 지역에 살면서 새가 좋아서 탐조를 하고 있지만 원래 성격상 멀리 가는 것도 별로 좋아하지 않고 귀한 철새가 있다고 그 지역을 찾아가는 것도 성격상 좋아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늘 탐조하러 나가는 곳은 섬진강이었습니다. 그렇게 오래 섬진강을 다니다 보니 섬진강에서만 140종이 넘는 새를 관찰할 수 있었는데 여기서 가장 인상 깊은 새를 말해보라 한다면 호사비오리를 꼽을 것 같습니다. 13년 전에 아주 우연히 차를 타고 가다가 섬진강에 찾아온 것을 발견하고 새벽부터 기다려 사진에 담았을 수 있었는데 힘들게 담아서 기억에 남는 것도 있지만 실제로 귀하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올해 11월 섬진강을 찾은 호사비오리의 최대 개체수는 50마리로 확인이 되었습니다.
호사비오리는 멸종위기야생생물 I급이며 국제적멸종위기종인 IUCN EX(절멸위기)로 지정되어 보호받는 귀한 새이기 때문입니다. 호사비오리는 2000~2012년에 실시한 번식 지역에 대한 조사자료에 따르면 개체수는 약 1,940쌍(4,660마리) 정도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개체수의 대부분이 극동 러시아, 시호테알린산맥 지역이며 일부는 중국, 그리고 북한 백두산 등지에서도 번식을 하고 있지만 북한의 데이터는 접근할 방법이 없어 취합되고 있지 않아 개체수에는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번식지도 중요하지만 월동지 또한 매우 중요합니다. 실제 호사비오리는 유속이 빠르고 물이 맑아 먹이원인 어종이 풍부한 지역을 선호합니다. 그러나 지금의 강들은 준설과 오폐수로 병들어가고 있습니다. 강으로 깊이 들어오는 자전거길도 문제가 됩니다. 경계심이 많은 호사비오리는 작은 인기척에도 날아오르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강과 산이, 땅이 우리 인간이 하는 난개발을 그냥 계속해서 받아줄 것으로 보는 것 같습니다. 허구한 날 강과 하천을 뒤집고 산에 나무를 베어내고, 그것도 모자라 골프장을 만들고 있으며, 바다를 메워 공항과 산단을 만들고, 산을 파먹는 석산과 쓰레기 매립장, 논, 밭을 갈아엎어 태양광과 건물을 올리고 있습니다.
인디언 속담이 생각납니다. ‘마지막 나무가 베어져 나가고, 마지막 강이 더럽혀지고, 마지막 물살이가 잡힌 뒤에야 그대들은 깨달으리라. 돈을 먹고 살 수 없다는 것을’
생명들의 쉼터가 되어주는 섬진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