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3-28(목)
 

지리산둘레길에서 만나는 옛이야기2-대전리 공양인물상

 

지리산둘레길 방광-산동 구간을 걷다가 만나게 되는 대전리 비로자나불옆에 가만히 쪼그리고 앉아 계시는 한 분을 우리는 종종 그냥 지나치게 된다. 크기도 작고 또 얼굴부분이 깨어져 있고, 안내판에 이분에 대한 설명이 한 줄, 한 글자도 없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런데, 무심결에 지나치는 순례객들이야 그렇다 치더라도, 관리하는 지자체나 문화재청에서 이분에 대해 이리도 무심할 수 있나?

 

 

1.jpg

 

오직, 마을주민들만 대전리 비로자나불과 이분에 대한 경배심을 간직하고 있다. 가면 늘 음료수와 공양간식이 가득가득하다. 예전부터 비로자나불을 미륵불이라 오인하면서 불심과 사심 가득히 공양해 온 까닭에 부처님은 코가 좀 닳아 없어지는 공덕을 배풀었지만, 이분은 옆에 계시다는 이유만으로 공양물을 아쉬움 없이 받아 오셨다.

 

그럼, 이분은 누구인가?

앞서 말했듯이, 남아있는 사료나 기록이 없기에, 직접 확인할 방법은 없다.

다만, 앉아 계시는 자세와 형태가 비슷한 인물상을 통해 추론해 볼 수 밖에 없다.

 

앉아 계시는 자세는 오른무릎을 땅에 꿇고 왼무릎은 세우고 있고, 오른손은 공손히 무릎 위에 사뿐히 올려놓고, 왼손은 무언가를 들고 계시다(물론 훼손되어있다)

 

어려운 말로 우슬착지(右膝着地)이다.

공경의 뜻을 표하는 인도의 예법으로 어른 앞에 물건을 놓거나 주고 받을 때, 공양할 때 하는 자세이며, 야외나 오체투지의 예를 취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존경하는 자세로도 사용된다.

 

단서는, 우슬착지이다.

우슬착지한 공양인물상을 한번 다 모아보면, 그 안에 실마리가 있을 것이다.

그림이나 조각상(부조)으로 계시는 분을 제외하고, 독립된 환조(한 덩어리의 재료에서 물체의 모양 전부를 조각해 내는 작품)로 조성된 공양인물상은 우리나라에 모두 8분이 남아계시는데, 그중 한 분은 금강산에 계시는 관계로 실물을 확인할 수 없다 ㅠㅠ

 

8분의 공양인물상은 승려상과 보살상으로 구분된다.

한번 알현해보자!

 

 

 

우선, 시대순으로 앞선다고 판단되는 공양승려상(공양석등)

2.jpg

 

화엄사 공양석등은 그 앞에 있는 4사자 삼층석탑만 국보로 지정되었고, 논곡리 공양상도 앞의 삼층석탑만 보물로 지정되었다. 대전리 공양상도 비로자나불입상만 지방문화재로 지정되어있다. 물론 모두 석탑과 불상과 함께 세트로 이해되어지는 유물이기에 같은 국보와 보물로 봐야 하겠다. 금강산 금장암지 공양석등 역시 앞의 석탑과 함께 북한의 국보급문화재 제45호로 지정되었다가 국보 문화유물 제100호로 변경 지정되었다.

 

 

 

그리고, 공양보살상

3.jpg

 

논산 개태사의 공양보살상은 머리부분이 손실된 것을 근래에 새로 조성하면서 웬지 원래의 분위기가 좀 사라진듯하며, 극락보전에 모셔진 삼존불입상은 보물로 지정되었지만, 공양보살상은 아무런 훈장이 없다.

신복사지 공양보살상은 그 앞의 삼층석탑과 따로보물로 지정되어있다.

법천사지 공양보살상은 사진으로 보는 것처럼 심하게 훼손되어 있다가, 최근 조사결과 공양보살상으로 판명되었다

월정사 공양보살상은 그 앞의 팔각석탑은 국보, 공양보살상은 보물로 지정되었다가, 따로 지정된 것이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어 국보48-2호로 격상되었다.

 

공양보살상은 우슬착지한 자세에서 두 손을 모아 무언가를 들고 있는 형상이며, 머리에는 보관을 쓰고 있어, 승려가 아님을 알 수 있다. 주로 고려전기에 조성되었으며, 대전리 공양상과는 다소 거리가 멀다. 그래서 이 분들에 대한 이야기는 다음 기회로 넘기고자 한다.

 

공양인물상의 시초는 화엄사 4사자 삼층석탑 앞에 있는 공양석등이라는 데는 전문가들의 이견이 없다. 다만, 조성년대와 조성이유, 인물의 성격에 대해선 여전히 논란이 가득하다.

 

 

 

대전리 공양상을 이해하기 위해선, 지리산둘레길을 걸어서 두어시간만 가면 볼 수 있는 화엄사에서 이야기를 시작해야 한다.

 

4.jpg

 

앉아 계시는 자리도 그렇고, 석탑의 양식과 아우라, 그 앞의 독특한 공양인물상이 받들고 있는 석등....누구라도 그 앞에 서면, 가슴 설레이는 감동을 받게 된다.

 

효대(孝臺)라고 안내판에 설명되어 있고, 화엄사의 홈페이지에도 그렇게 나와 있다.

화엄사 창건설화에 나오는 연기조사가 그 어머니에게 차를 공양하는, 효와 불()이 만나는 전래없는 스토리와 조각품이라는 게, 현재 정설로 여겨진다.

 

그런데, 과연 그럴까?

효대라는 명칭은 고려 대각국사 의천의 시에 처음(남아있는 기록) 등장한다. 그때가 고려초 11세기말경이다.

그러나, 연기조사의 화엄사 창건설화는 통일신라와 고려시대에는 없었다가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유교의 효사상이 강조되어지면서, ‘추강집’ ‘신증동국여지승람등을 통해 재해석된 것이다.

 

화엄사의 4사자 삼층석탑과 공양석등은 조성될 당시인 통일신라말에는 를 중점에 두고 만들어지지 않았으며, 연기조사의 창건설화와도 관련이 없었다. 이는 화엄사의 삼층석탑과 공양석등이 인근의 논곡리 공양상과 대전리 공양상, 그리고 멀리 금강산으로 그 조형양식이 퍼져나간 것을 보면 납득할 수 있다

탑과 공양상을 조성하는 것이 당시 국가적(혹은 지방권력)인 사업인데, 불교적 교리와 부처에 대한 공경이 우선인 시대에 를 모티브로 하는 조성사업이 많은 곳에서 진행되었다고 보는 것은 무리일 것이다. 혹여 그렇다면, 논곡리와 대전리, 금강산 금장사에서도 연기조사 설화와 같은 관련 이야기가 있어야 하는데, 전혀 전해지는 바가 없다.

 

 

 

그렇다면, 이런 독특한 양식의 석탑과 공양석등이 만들어진 연유는 무엇일까?

 

5.jpg


6.jpg

 

화엄사 4사자 석탑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고 있는 석탑에서 출발해 보자.

유구한 역사를 가진 4사자 석탑은 초기에는 사자가 기단석에 배치되거나 탑신부에 있다가, 점차로 탑신부를 머리로 받드는 모양으로 변해간다.

 

남아있는 4사자 석탑 중에서 가장 명확한 기록을 가지고 있는 사자빈신사지(獅子頻迅寺址)’ 석탑에서 실마리를 찾아보자.

 

 

 

 

7.jpg

 

 

 

절도 사라지고, 문헌기록도 없는 절터에 탑만이 하나 덩그라니 남아있고, 그런데 다행히 탑 기단부에 명문(조탑 연기문)이 새겨져 있어, 탑을 세운 년도와 이유, 그리고 절의 이름을 알게해준다.

 

8.jpg

 

고려 현종 13(1022)이라는 정확한 조성년도와 사자빈신사라는 절 이름이 표기되어있다.

 

이름도 생소한 사자빈신사라는 절 이름에 주목해 보자.

사자빈신(獅子頻迅)이라는 말은 화엄경 입법계품에 세존이 모든 보살들을 여래의 사자빈신삼매에 들어가게 하려고 미간백호(부처님의 미간에 있는 흰털)로부터 큰 광명을 놓는다라는 구절에서 나온다.

 

빈신이라는 말은 인도어 비실름다에서 온 말이며, ‘하품을 한 상태를 의미한다. 사자가 하품하는 것을 포효하는 것으로 해석해 신음소리라는 뜻의 빈신으로 쓴 것이다. 사자를 탑 사면에 내세운 것도 사자빈신의 경지를 시각화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삼매(三昧)는 어떠한 생각이나 감정도 마음의 평온을 깨뜨리지 않는 집중 상태, 곧 선정에 든 상태를 말한다. 그래서 사자빈신삼매란 사자의 포효처럼, 어떠한 두려움도 없고 걸림이 없는 선정의 상태를 말하며, 부처께서 이러한 삼매의 경지를 모든 보살들과 중생들이 함께 할 수 있도록 이끄시는 것을 말한다.

 

 

 

아마도, 절 이름답게 구층탑도 빈신삼매에 드신 부처님과 화엄경의 한 구절을 조형물로 옮겨놓은 게 분명할게다.

9.jpg

 

석탑에 사자가 등장할 때, 처음엔 기단부 옆에, 혹은 탑신부 옆에 배치되다가, 점차 사자가 탑신을 떠받드는 형상으로 변모했을 때, 우리가 주목해야 할 점은?

흔히, 사자가 떠받드는 형상으로 인해 생성된 공간과 그 안에 놓여진 인물상에 주목한다. 물론, 그 공간과 인물상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지점은 그렇게 공경스럽게 떠받드는 탑신에 있다.

 

화엄경 세계의 주불, 사자빈신삼매에 들어가신 비로자나불이 바로 그 탑신이다.

 

그렇다면 탑 안에 있는 인물은 누구인가?

사자빈신삼매가 등장하는 화엄경 입법계품을 보면 답이 나온다.

 

입법계품은 선재동자가 53명의 선지식을 찾아 해탈에 이르는 진리의 길을 찾아가는 구도의 행각을 기록한 내용이며, 이 중에 25번째로 찾아가는 선지식이 빈신비구니이다. 그렇다, 탑 안에 있는 인물은 빈신비구니이다. 그래서 탑 안의 인물상이 여인의 형상을 띄게 되었고, 연기조사의 어머니라는 오해를 낳게 했을 수도 있다.

 

 

 

그리고, 탑 앞에 우슬착지하고 공양하는 모습을 띤 인물은 선재동자이다.

 

10.jpg

 

뜬금없이 천지창조수태고지를 등장시켜 보았다.

서양의 성당이나 궁전, 귀족들의 애장품 중 가장 많이 등장하는 것이, 성경의 내용들이다. 성경의 내용 중 주요한 장면을 예술작품으로 만드는 이유는, 종교적 신념을 나타내고 또 예술로 승화시키는 것이 믿음의 표현이라 생각했기 때문이기도 하고, 더 나아가 백성들이 글을 모르기에 성경의 내용을 쉬운 그림과 조각으로 설명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불상과 불화, 그리고 절집의 많은 문화재도 불경의 한 대목을 말하고 있다.

 

 

 

, ‘수태고지(受胎告知)‘는 말이 너무 어렵다. 성처녀인 마리아가 예수를 임신했다는 것을 천사 가브리엘이 하늘에서 내려와 알려주는 성경의 한 장면을 그린 것이다. , 임신사실(수태)을 알려주는(고지) 장면인데, 한문이 너무 어려워 제목을 보고 그 뜻을 알기는 쉽지 않다. 그렇게 보면 성경이나 불경이나 어려운 한문을 한글로 풀어 해석해 주면 좋으련만.....

11.jpg

 

흔히 효대라 잘못 알려진 화엄사의 4사자 삼층석탑과 공양석등은, 신라말 불교의 핵심교리인 화엄경의 한 구절을, 빈신삼매에 든 비로자나불과 선지식을 찾는 선재동자와 빈신비구니를 표현한 것이다.

 

세존께서 혼자만 사지빈신삼매에 드는 것이 아니라 법회에 모인 보살들도 사자빈신삼매에 들도록 미간의 흰 털로부터 삼세의 법계를 두루 비추는 문(普照三世法界門)’이라는 큰 광명을 비춘다. 이 큰 광명을 통해 보살들도 삼매에 들게 되거니와 이를 통해 모든 중생의 교화도 쉬지 않음을 나타내는 것

 

화엄경의 화엄사상을 대표하는 화엄사라는 절집에, 그것도 그 절의 가장 높고 핵심적인 자리에, ‘를 모티브한 효대를 만들 것인가? 아니면, 화엄세계의 주불과 그 부처님의 진심가득한 중생사랑을 표현할 것인가? 당신이라면, 어떤 것을 표현하겠는가......

  

대전리 공양상 이야기를 하다가 너무 많이 삼천포로 빠졌다.

너무 많이 훼손된 대전리 공양상의 원형은 어떤 모습일까?

 

 

 

가까이에 있는 화엄사 공양석등이 쉽게 유추해 볼 수 있는 원형일게다.

 

12.jpg

 

 

 

공양인물상이 받들고 있는 석등을 세 개의 기둥이 받치고 있다. 그런데, 해체 수리를 하면서 머리 위의 옥개석과 기둥이 원래부터 있었던 것이 아님을 알게 되었다.

 

13.jpg

 

옥개석의 홈과 기둥이 맞지 않기도 하고, 세 개의 기둥 굵기가 다르다는 점에서, 공양석등 조성 이후 추가로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그 이유는?

 

14.jpg

 

금장암지 4사자 삼층석탑과 공양석등을 보면 그 이유를 알 수 있다.

 

 

첫 번째는 공양상의 머리로만 석등을 받치고 있는 사진이고, 두 번째는 공양상의 몸통과 머리와 석등이 분리된 사진이다. 무거운 석등을 머리로만 받치게 만든 조형물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균형이 흐트러지고, 세월의 힘에 못 이겨 석등이 무너진 것이다

화엄사 공양석등도 이런 현상이 발생했을 것이며, 다시 세우기를 반복하다, 급기야 옥개석과 기둥을 세워서 석등을 받치도록 한 것이다.

 

15.jpg

 

공양상의 머리 위에 상대석과 석등만 있었던 원형에서, 무너짐을 방지하기 위해 머리와 상대석 사이에 옥개석을 새로 만들고 기둥을 세운 것이다.

 

 

입면도를 보면, 금장암지 석등과 화엄사 석등의 차이점, 원형에서 추가한 부분이 무엇인지 좀 더 분명히 알 수 있다.

 

16.jpg

 

대전리 공양상의 주변에도 석등을 받쳤을 것으로 추정되는 기둥 2개가 남아있다.

 

 

기둥의 크기와 생김새가 화엄사 공양석등과 얼추 비슷하다.

 

17.jpg

 

아마도, 대전리 공양상은 화엄사 공양석등 이후에 세워졌으며, 화엄사의 고충(석등이 무너짐)을 가까이서 보아왔고, 또 화엄사 공양석등에 기둥을 세우는 추후 작업도 지켜 본 이후, 조성할 때부터 기둥을 세우지 않았을까 유추해본다. 그렇다면, 대전리 공양상도 머리 위에는 석등이 있었음이 분명하다.

 

다만, 주변에서도, 발굴조사 과정에서도 삼층석탑과 관련된 유물들이 발견되지 않아서 공양상이 석탑을 향해 있었는지 아니면 비로자나불을 바로 보고 있었는지는 확인할 길이 없다.

 

 

 

그러나,

 

18.jpg

 

 

 

가까이 있는 화엄사 공양석등도, 또 지척에 있는 구례 논곡리 공양상도, 금강산의 금장암지 공양석등도 다 삼층석탑을 향해 공양하고 있는 모습이기에, 대전리 공양상도 필시 삼층석탑을 향해 우슬착지하고 있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아니 그럴게다.


19.jpg

 

다소 장황하게, 한국 불교의 가장 문제적인 인물이라고 말하기도 했고, 감히 화엄사의 효대를 효대가 아니라고 말하기도 했기에, 조금 난망하기도 하다.

 

그러나, 나말려초의 혼란한 시기에, 법신 비로자나불의 공덕을 빌어오고, 선지식을 찾아 구도의 길을 나선 선재동자에 빗대어, 조금이나마 삶의 위안을 받고자 했던, 지리산 자락의 보살들과 중생들의 마음이 읽혀지는 대전리 석불과 공양상을 좀 더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고자 하는 보살행이라고 헤아려 주시면 고맙겠다.

 

 

 

다음엔, 날도 더운데 지리산둘레길을 걸으면서 만나는 시원한 물에 대한 이야기를 한번 해 보려 한다

어디로 갈까?

 

바로가기 --- 지리산둘레길에서 만나는 옛이야기1-대전리 석불 – 지리산인 (jirisan-in.net)

전체댓글 0

  • 51499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지리산둘레길에서 만나는 옛이야기2-대전리 공양인물상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