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9-11(수)
 


인간의 탐욕, 그 쓸쓸함에 대하여

 

박 두 규 (시인)

 

연말연시를 맞아 바쁘게 살다가 어쩌다 담배라도 하나 빼물면 , 한 해가 또 가는구나.’ 하며 나도 모르게 긴 숨을 내뱉게 된다. 무슨 큰 걱정거리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왠지 그 긴 숨은 한숨처럼 내뱉어져 스스로를 우울하게 한다. 어쩌면 그 우울함은 한 해가 가고 또 한 살을 먹고 그만큼 남은 삶이 줄었고 그만큼 죽음에 다가갔다는 무의식적인 뇌의 반응인지도 모른다.

그래서 그랬는지는 모르지만 언젠가부터 나는 이렇게 외부의 상황에 별다른 생각도 없이 반응하는 몸과 뇌의 기억에 끌려 다니는 것이 못마땅해서 자주 스스로를 들여다보는 편이다. 그리고 그런 기억의 관성적 반응을 하는 나를 들여다보는 나의 편이 되어 다시 생각을 정리해내곤 하는 버릇이 있다. 그럴 때 시로 정리되는 경우도 간간이 있는데 올 연초에도 이런 시를 썼었다.

 

새해 첫 모심/ 오시는 숨, 기쁘게 모시고/ 가시는 숨, 미련 없이 여읜다./ 모든 게 고맙다./ 새해 꼭지를 따며 스스로에게 당부한다./ 허접한 일상을 살지라도/ 세상의 모진 바람에 고개 숙이지 않기를./ 이승의 궁벽한 어느 구석일지라도/ 아무런 미련 없이 처박히기를.”

 

지리산 자락, 섬진강 하류 기슭 어느 구석에 거처를 마련하고 처박힌 지도 벌써 10여년 세월이 흘렀다. 나는 이곳으로 들어오면서 사실은 새로운 인생살이를 꿈꾸며 들어왔다. 누구든 자신의 새로운 삶을 위해서는 그 상황과 조건을 바꿔내려고 새로운 각오를 한다. 나도 이곳에 들어오며 새 집을 짓고 상량문에 그 마음을 새겼다. 노자와 묵자에서 빌려와 無爲無不爲무위무불위愛人若愛身애인약애신이라는 글을 새겼는데 집이 내려앉을 때까지 얻지 못할 말을 새겨놓고 쳐다볼 때마다 후회하며 살고 있다. 無爲無不爲를 새길 때만해도 나름의 해석을 글로 정리하기도 했는데 그 일부를 보면 대충 이렇다.

 

“......나무는 어디도 가지 않고 아무 것도 하지 않고 그 자리에서 세상의 비와 바람을 다 맞는다. 그리고 꽃을 피워 봄이 있게 하고, 벌과 나비의 양식이 되고, 씨를 맺어 생명을 잉태한다. 평생을 한 곳에서 한 치도 움직이지 않지만, 스스로에게 또는 세상에게 하지 않은 것이 없다. 사실은 이처럼 모든 것은 그 존재 자체로 스스로 빛나는 것이다.......”

무엇을 인위적으로 하지 않으면서도 하지 않는 것이 없다(無爲無不爲)는 그 말이 당시에는 너무 매력적이었다. 그러나 그것을 일상에서 행동하고 실천하는 것이 얼마나 높은 경지의 삶이라는 것도 모르고 그냥 그 내용이 멋있어서 그렇게 나댔었나 싶다.

 

하지만 21세기 현대인들은 이 무위무불위의 진리를 용납하지 않는다. 저절로 운영되는 우주자연의 존재적 질서와 그 존재의 순환적 질서를 철저하게 깨며 이루어낸 것이 오늘날 현대문명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현대의 과학기술문명은 자본주의를 만나 발전된 것이기에 오늘날 우리 문명사회는 자본의 본질적 특성의 하나인 탐욕을 내장하게 된다. 성장주의나 물량주의, 물질만능주의 그리고 지독한 이기주의, 이런 자본주의 이데올로기는 인간의 탐욕을 그대로 실현시켜온 현대문명의 특징들이다.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는 자본의 논리는 끝없이 탐하는 인간의 탐욕이 반영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탐욕은 반드시 폭력을 유발할 수밖에 없다.

돌아보면 이러한 탐욕이 상류 기득권층의 카르텔을 자연스럽게 형성하여 보이지 않게 우리 사회를 지배해 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모두는 아니겠지만 법을 만드는 정치인과 법을 집행하는 검사들과 그것의 여론을 주도하는 언론인들이 결탁하면 대한민국은 이들의 나라였다. 그 중심에는 무소불위의 권력인 검찰이 있었다. 검찰의 눈으로 보면 누구든 털면 나오는 것이고, 누구든 죄인으로 만들고 안 만들고도 그들의 마음대로 할 수 있었다. 그러하니 골목대장 검찰의 주변에 붙은 언론인과 정치인들, 재벌들이 얼마나 많았겠는가. 검찰은 이러한 카르텔을 형성하며 지금껏 부정부패를 저질러온 곳이지만 이것을 바로잡기는 너무 어렵다. 과거 군부독재 시절의 검찰은 모든 법의 우위에 있는 중앙정보부나 안기부 같은 기관이 충분히 통제할 수 있어서 청와대의 수족 노릇을 할 수밖에 없었지만 족쇄에서 풀려난 지금은 검찰을 통제할 기관이 없으니 그야말로 최상위 포식자의 위치에 있는 것이다.

 

모든 것의 본질적 원인은 4,5백 년 동안 진화해온 자본주의 속에서 제어장치 없이 커온 인간의 탐욕일 것이다. 나는 그렇게 생각한다. 탐욕이라는 것은 생존의 욕구로부터 시작되고 삶에서 반드시 필요한 것이지만 그 생존욕구가 탐욕으로 진화되는 경계선을 인간은 제어하기 힘들다. 그래서 사회적 도덕률과 법률로써 재어하려 하나 그 법률 자체가 잘못되어 있으면 그것도 어려운 일이 되고 만다. 이라는 것이 글자처럼 물이 흐르는 것처럼 시대에 따라 변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국회라는 곳이 그러한 역할을 하는 것이지만 그곳에 소속되어 있는 자들이 자신의 이익과 파당적 이익에만 매몰되어 변화를 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래서 온 국민들이 이들의 진영에서 휘둘리지 않고 우리사회의 바른 잣대로서의 그 몫을 해야만 한다.

 

하지만 현대인들이 이런 일에 참여하는 것 또한 쉬운 일은 아니다. 왜냐하면 앞서 말한 탐욕은 이미 21세기의 삶 속에서 인간의 보편적 정서로 자리 잡고 있는 것 같아서 그렇다. 이 탐욕이야말로 폭력의 근원이고 모든 순환 질서를 깨는 근본 원인이지만 이것은 오늘날 현실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경제성장이라는 이름으로, 개인에게는 행복이라는 이름으로, 또는 당위적 삶이라는 이름으로, 현실이라는 이름으로, 혹은 자유라는 이름으로 스스로를 정당화하고 있다. 그리고 우리들 또한 우리사회나 다른 누구의 탐욕에는 분노하면서 자신의 탐욕에는 관대한 그런 뻔뻔스러운 삶을 잘도 살고 있기 때문이다

 

PANO0022.jpg

 

마침표.jpg


태그

전체댓글 0

  • 86856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인간의 탐욕, 그 쓸쓸함에 대하여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