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4-28(일)
 

카뮈파농.jpg

 

카뮈는 노벨 문학상도 받았고 우리나라에 번역된 책도 많아 여러 사람이 알고 있다.

그러나 파농은 아는 사람이 드물다.

그렇다고 해서 이 책을 읽을 수 없는 것은 아니다.

이 책을 읽으면 카뮈와 파농에 대해 자세히 알 수 있다. 특히 그들의 식민지관에 대해.

 

저자는 식민지로서 유사한 경험을 공유한 알제리와 조선을 비교한다.

일본식민지 정책이 프랑스, 영국, 스페인등의 서방을 모방한 것이며. 특히 프랑스의 알제리 식민 정책에서 언어교육을 통한 '동화정책'을 실시했다는 것을 지적한다. 또한 130년 동안 프랑스의 식민지였던 알제리 출신 카뮈의 문학이 식민주의를 문학에 반영하지 못한 것을 지적한다. 35년 동안 일제의 식민지였던 한국이 해방되고도 일제를 청산하지 못해 지금까지 겪는 어려움을 생각하면, 무려 100년이상 프랑스의 식민지였던 알제리 출신 카뮈가 알제리해방을 찬성하지 않고 동화정책에 찬성한 것은 그의 평생 그가 프랑스인으로 착각하고 살아오게 한 주변 환경과 정책, 역사에도 책임이 있지만, 그럼에도 비슷하게 같은 환경에서 살았지만 다른 입장을 취했던 파농같은 인물이 있다. 유대인은 쓴나물과 누룩없는 빵을 먹으며 선조들의 이야기를 전해주는 전통을 통해 자기의 언어와 풍습을 지켜왔다. 카뮈의 정치적 성향은 아나키스트였기에 취한 태도였다고 변명 할 수도 있다. 어쨌든 사람은 자기가 살고 있는 역사적, 정치적, 환경적 상황을 직시하지 않으면 자기가 어떻게 사는지, 어디로 흘러가는지 알수 없는 것이다. 지금 나는 역사의 물결 속에서 어디로 어떻게 흘러가고 있는가? 이책을 읽고 드는 생각이며 위대하다고 하는 사람일수록 언젠가는 역사의 심판을 받고야 만다는 생각이 든다.

 

카뮈와 파농은 모두 알제리 출신이다. "프랑스인이나 유럽인은 카뮈를 결코 알제리인으로 생각하지 않기 때문에 아예 알제리를 설명하지 않는 것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카뮈는 알제리를 빼고서 절대 제대로 이해될 수 없다."고 작가 박홍규는 말한다.

 

그러면 알제리가 어떤 나라인지 잠시 알아본다.

알제리의 현재 정식 국명은 '알제리 민주인민공화국'이다. 면적은 한반도의 20배가 넘고 남한보다 40배 이상이나 인구는 2천만 명을 조금 넘는다. 그러나 내륙은 대부분 사하라 사막이어서 사람들은 북쪽 해안가에 모여 산다. 수도 알제는 지중해에 면한 바닷가에 있고, 인구는 2백만명 정도다. 그러나 아프리카에서는 대단히 크고 현대적인 도시 중의 하나다.

1954년부터 시작된 알제리 해방투쟁은 쿠바, 베트남과 더불어 20세기 후반 민족해방투쟁의 거대한 발자취였다. 알제리의 선주민인 베르베르족은 기원전 2세기에 침입자인 카르타고를 격퇴하여 최초의 통일국가를 세웠다. 그러나 곧 로마의 지배를 받았고 7세기에는 아랍인의 지배를 받았으며, 16세기 이래 다시 터키인의 지배를 받았다. 그리고 1830년 프랑스가 침략했다. 터키는 곧 프랑스에 항복하여 알제리는 1834년 프랑스 영토로 선언됐으나, 선주민은 1871년까지 프랑스와 싸웠다. 1850년 11만 헥타르 정도였던 식민자 소유지는 1세기후 그 100배로 늘었다. 반면 알제리 농민이 소유한 국토의 1/3은 대부분 황무지였다. 1940년 반이상의 농가가 토지를 갖지 못했고, 농민의 칼로리 섭취량은 유럽인의 1/3에도 미치지 못했다. 그야말로 빈곤의 극치였다. 식민지화는 문화 강제의 역사였다. 1850년경 프랑스 교육제도가 강제된 이래 1세기동안 아랍어 교육은 금지했다. 1938년 아랍어는 외국어로 인정되었는데, 그것이 프랑스어와 함게 공용어로 인정 받은 것은 1947년 이후다. 초. 중등학교에서는 일주일에 두시간만 가르칠 수 있었다. 당시 초등학교 취학률이 15퍼센트 가량이었다. 알제리에서는 19세기 말부터 약간의 반란이 이어지다가 1945년 4만명이 죽은 대학살을 계기로 민족운동은 더욱더 적극적으로 변했다. 1954년 민족해방전쟁이 터져 1962년에 끝났다. 카뮈는 1960년에 죽었다. 알제리 민족해방 2년 전에 죽은 것이다. 그의 생애는 제국주의 식민지와 떼려야 뗄 수 없으나, 1940년부터 알제리를 떠나 있었다. 반면 파농은 전쟁이 터지기 1년 전인 1953년에 알제리에 와서 전쟁이 끝나기 1년 전인 1961년에 죽었다. 전쟁동안 카뮈는 프랑스에 있었고 파농은 알제리에 있었다. 두사람이 살아 생전 알고 지내지는 않았다.

 

저자는 거의 모든 카뮈의 작품에서 낱낱이 그의 식민지관을 짚고, 파농의 작품과 일생을 깊이 있게 적고 있다.

이렇게 재밌고 깊이 있는 글을 쓰는 박홍규의 팬이 되었다.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카뮈와 함께 프란츠 파농 읽기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